왕이 되는 것보다 더높은 성공의 경지에 올랐다는 뜻으로 쓰는 한자가 聖입니다 음악에서 최고 경지에 오른 사람을 악성(樂聖)바둑 최고의 경지의 기성(棋聖)시(詩)의 최고 경지의 시성( 詩聖)인간 최고의 경지에 오른 사람을 聖人 이라 부릅니다. 이렇게 인간이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성공 경지 핵심에 있는 聖자는 耳(귀이)와 口(입구) 그리고 王(임금왕) 자이 세 글자의 뜻을 함축한 글자입니다. 인간이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경지에 성공적으로 올랐을 때만 붙여주는 聖자를 쓰는 순서는 耳자를 맨 먼저 쓰고 그 다음에 口자를 쓰고 마지막으로 王자를 씁니다. 耳를 맨 먼저 쓰는 이유는 남의 마음을 얻기 위해서는 듣는것이 최우선이기 때문입니다. 다 듣고 난 후에 입을 열어야 상대가 만족하기 때문에 입(口)을 나중에 쓰게 만든 것이고 마지막에 王자를 넣은 것은 먼저 듣고 나중에 말한다는 것은 왕이 되는것 만큼어렵다는 뜻입니다. 공자도 60세가 되어서야 이순의 경지에 도달했다고 했을 정도로 어려운 것이 먼저 모두 다 듣고 나중에 말하는 것입니다. ‘이청득심’이란 마음을 얻는 최고의 방법은 귀를 기울여 듣는것이라는 의미 입니다. 성인은 먼저 남의 이야기와 진리의 소리 그리고 Read more about 듣는 능력[…]